수근관 증후군이란?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CTS)은 손목 부위에서 발생하는 신경 압박으로 인한 질환으로, 주로 손의 손바닥 쪽에 있는 중간 신경인 양수 신경(Carpal Tunnel)이 압박을 받아 발생합니다. 특히 1, 2, 3번째 손가락에 통증, 무감각,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주관 증후군과 구분됩니다. 이 증후군은 흔히 손목과 손가락에서 통증, 저림, 쑤시는 느낌, 무감각함, 근육 약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손목에서 손가락에 이르는 부위에서 통증이나 저림이 느껴집니다. 주로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세 개의 손가락이 영향을 받습니다. 수근관 증후군이 길어지면 근육에 더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손목과 손가락의 근육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손가락이나 손목 부위에서 무감각한 느낌이나 피부의 감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건을 들거나 간단한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손가락의 정밀한 움직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1.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 요인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며, 수근 관절 주위의 골절이나 탈구 및 그 후유증이나 수근관 내에 발생한 종양 등으로 인한 눌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저하증, 반복적인 손목 작업, 비만, 임신, 류머티즘성 관절염, 진동 도구 작업이나 컴퓨터 작업처럼 강력한 그립이 필요한 작업과 같은 관련 작업을 할 경우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등에서 특정 단백질이 손목 인대에 침착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와 평가가 사용됩니다. 진료 상담 및 신체검사로, 환자의 증상 및 의료 기록을 수집합니다. 손목, 손, 팔의 감각 및 근력 상태를 평가합니다. 후천적 진단법(Tinel's Sign)으로는 수근관 위치에서 손목의 피부를 가볍게 탭 하면, 환자가 나타내는 저림이나 통증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고 이는 손목 부위의 정중신경을 타진하여 통증이나 감각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폴스팅 테스트(Phalen's Test)는 손목을 1분 정도 수동적으로 굽힌 상태에서 유지하면서 정중신경분포 영역에 저린감이 있는지, 감각 이상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또한 날개 상승 검사(Wrist Flexor Stress Test)로, 손목을 팽팽하게 굽히면서 환자의 손을 들어 올리면서 증상을 평가합니다. 신경과 근육의 기능을 측정하는 전기 신경 전도 검사(EMG/NCS)도 있습니다. 이는 수근관 내 정중신경의 압박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기 공명 영상 촬영(MRI)으로는 수근관과 주변 조직의 구조를 자세히 확인하고, 신경 및 인대의 압박 또는 손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근관 관찰검사(Carpal Tunnel Release)로 진단이 명확하지 않거나 수술을 고려하는 경우에 수근관을 관찰하기 위한 시술로 사용됩니다. 혈액 검사방법으로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관련된 위험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혈액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3.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다양하며, 보존 치료의 경우 근육의 위축이나 감각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시도할 수 있고, 부목 고정, 경구 투여 약제,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의 경우 50세 이상인 경우, 보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증상이 심하거나 10개월 이상 증상이 계속 지속된 경우, 무지 구근의 위축이 있는 경우, 무지 및 수지의 지속적인 무감각의 경우도 고려할 수 있으며, 폴스팅 테스트 시 30초 이내에 양성 소견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권장될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은 미국에서 약 5%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으며, 주로 성인기에 발병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더 자주 영향을 받습니다. 약 1년 동안 특정 치료 없이 최대 33%의 사람들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에 대하여 (0) | 2024.02.21 |
---|---|
고혈압을 살펴보자 (0) | 2024.02.20 |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2.18 |
대퇴 경부 골절을 알아보자 (0) | 2024.02.16 |
골반 골절에 대하여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