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학이란?
의학은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연구, 진단, 예방, 치료, 그리고 건강을 유지하는 학문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학문입니다. 이 학문은 수많은 분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분야는 고유한 목적과 연구 대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의학은 일반적으로 기초의학, 임상의학, 임상 지원의학으로 분류됩니다. 임상이란 환자의 병상 옆에서 직접적으로 환자를 진료하는 의학 분야를 나타내며, 기초 의학은 임상의학을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기본 학문을 의미합니다. 또한 임상의학은 내과계와 외과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임상 지원의학은 임상 의사를 지원하는 의학 분야로, 예를 들면 영상의학이나 마취과학 등이 속합니다.
과거부터 질병을 치료하려는 의료행위가 있었습니다. 석기시대에 발견된 벽화에는 그린 머리뼈에 천공하는 장면을 담고 있었고, 주술적인 일 수도 있지만, 선사시대에도 수술과 같은 외과 치료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수술과 같은 전문적인 치료가 이루어졌습니다.
2. 의학의 역사적 배경
고대에는 질병이 신벌이거나 귀신에 의한 것으로 보았고, 기원전 280년경에 고대 그리스에서 출간된 히포크라테스의 "히포크라테스 전서"와 중국의 춘추전국 시기에 완성된 "황제내경"에 의해 질병을 더 객관적인 치료법을 찾는 합리적인 의학이 시작되었습니다.
과거 그리스와 로마의 고대 의학은 이슬람 세계로 전파되어 발전했습니다. 중세 이슬람 의학의 경우 고대의 지식을 물려받아 이어 나가면서 독자적인 지식과 함께 기술을 모아갔습니다. 이러한 것은 경험적 방법을 중시한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의학 관련 서적을 편찬하기도 하였으며 중세 이슬람 의학은 르네상스 시기에 맞물려 유럽에 전파될 수 있었고, 이는 유럽지역의 의학은 물론 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로써 12세기에 의학의 최고봉이라고 일컬어지는 이븐 시나는 유럽에서 의사의 왕으로까지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의 저서인 "의학 정전"은 라틴어로도 번역되었으며, 유럽 전역에서도 대학의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알 큰 크기에는 중국, 페르시아, 인도 등의 다양한 지역의 의학 지식을 받아들여 새로운 의료체계를 확립했습니다. 그는 홍역과 천연두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이는 세계 최초이다. 또한 전염병학, 외과, 소아청소년과 등의 일생의 연구를 모아 "의학 집성"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유럽에서는 의학이 독자적일 뿐 아니라 다양한 직업의 또 다른 업무로 취급되었습니다. 외과 치료의 경우 이발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연금술과 약학도 마찬가지로 여겨졌습니다.
동양의 의학은 명나라 때의 이시진의 본초강목으로 대표되는 약학의 발달에 더불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어 나갔습니다. 근세에는 조선의 허준이 집대성한 동의보감이 중국과 일본에서도 중요한 의학서적으로 취급되었습니다. 이렇게 동양의학은 현재에도 중국의 중의학, 한국의 한의학과 같이 의료의 한 줄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후 18세기 무렵의 유럽에서는 자연주의와 계몽주의 사상으로 과학적인 의학이 주류가 되었고 이로 인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대학에서도 해부학 실험실이 생기기 위해 시작했고, 이를 통해 인체에 대한 이해가 교양으로 간주하였습니다. 이는 현미경이 발명됨으로써 미생물을 확인 할 수 있게 되었고, 병원균을 확인 할 수 있게 되면서 전염병의 예방 기술인 백신 접종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로베르트 코흐는 콜레라균, 결핵균, 탄저균 등 병원균의 발견에 기여했습니다. 이전까지 생물학의 기술로만 여겨졌던 의학은 드디어 독립된 학문으로 발돋움하며 근대 의학이 이뤄지게 되었습니다.
현대 의학은 다양한 전문 분야로 세분되어 있으며, 자연과학의 발전으로 많은 과학 분야와 연계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엑스선 촬영, CT, MRI와 같은 기술이 도입되어 진단이 개선되었고,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의 발전은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데 기여했습니다. 통계학은 질병의 위험성을 분류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사회적인 질병 관리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현대 의학은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인류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의 구조를 알아보자 (0) | 2024.01.23 |
---|---|
뇌와 뇌혈관 질환이 무엇이 있을까? (0) | 2024.01.22 |
탈구의 분류, 진단, 치유과정을 확인해보자 (1) | 2024.01.21 |
골절의 분류, 진단, 치유과정 (1) | 2024.01.21 |
상해와 질병의 구분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