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해란 무엇인가?
상해(傷害)는 신체에 손상이나 손실을 일으키는 외부의 물리적인 원인에 의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사고, 폭력, 화상, 찢어짐, 낙상, 도로 교통사고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상해는 주로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신체 부위에 다양한 정도의 손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병은 기생물, 환경 요인,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이상 상태를 말합니다. 감염병, 만성 질환, 종양, 대사 이상, 정신 질환 등이 질병에 해당합니다. 질병은 주로 생리학적, 생화학적, 생물학적인 변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조직 또는 기관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변화하게 됩니다.
요약하면, 상해는 외부의 물리적인 원인으로 인한 신체의 손상을 나타내고, 질병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신체나 정신의 이상 상태를 나타냅니다. 상해와 질병은 각각 다른 원인과 메커니즘에 기인하며, 의료 분야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여 진단과 치료를 다루게 됩니다.
2. 상해의 분류
상해의 분류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국제 외상 원인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xternal Causes of Injury, ICECI)는 외상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분류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부상의 발생 메커니즘, 부상을 초래하는 물건 또는 물질, 발생한 장소, 상처를 입을 때의 활동, 그리고 인간 의도의 역할에 기반하여 부상을 세부적으로 분석합니다.
ICECI에서 사용되는 주요 분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상의 메커니즘(Mechanism of injury): 부상이 발생한 과정이나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낙상, 충돌 등이 해당합니다.
부상을 초래하는 물건/물질(Objects/substance producing injury): 어떤 물체나 물질이 부상을 초래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칼, 도구, 화학 물질 등이 해당합니다.
발생 장소(Place of occurrence): 부상이 어디에서 발생했는지를 나타냅니다. 가정, 도로, 학교, 업무 장소 등이 해당합니다.
다칠 때의 활동(Activity of injured): 상처를 입을 때 활동 중이던 상황을 기술합니다. 운전, 작업, 운동, 레저 등이 해당합니다.
인간 의도의 역할(The role of human intent): 부상의 발생에 인간 의도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의도적인 부상, 우발적인 부상 등이 해당합니다.
이러한 코드 체계를 통해 특정 집단이나 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상의 특성을 식별하고, 그에 따른 예방 노력 및 대응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부상의 원인과 특성을 더 정확히 이해하고 예방 활동을 개발하는 데 기여합니다.
3. 질병이란 무엇인가?
질병의 경우 병(sickness), 질환(illness), 질병(disease)으로 종종 혼용되지만, 각각은 약간 다른 의미를 갖는 의학적인 용어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서로 다른 차원에서 질병 경험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질병은 주로 생물학적인 측면에서의 이상을 나타내고, 질환은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다루며, 병은 사회적인 반응과 기능 이상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특정 상황이나 문맥에 따라 선호되는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병은 질병을 가진 개인이 나타내는 사회적 기능 이상으로, 환자의 병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반응을 나타냅니다. 이는 질병을 가진 개인이 사회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이상을 나타내며, 주변 사회나 가족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포함합니다.
질환은 개인적이며, 사회심리적인 차원에서의 개념으로, 개인이 질병을 경험하고 그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과 감정을 포함합니다. 또한 환자의 개인적인 질병 경험을 나타냅니다. 여러 질병이 동일한 질환을 야기하거나, 하나의 질병이 여러 개의 질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질병의 경우 생물학적인 차원에서의 의미로, 병리학이나 생리학에서 관찰되는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이는 의학적으로 정의되는 상태로, 생체 내의 이상이나 손상으로 인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질환은 개인적이며, 사회심리적인 차원에서의 개념으로, 개인이 질병을 경험하고 그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과 감정을 포함합니다. 또한 환자의 개인적인 질병 경험을 나타냅니다. 여러 질병이 동일한 질환을 야기하거나, 하나의 질병이 여러 개의 질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의 구조를 알아보자 (0) | 2024.01.23 |
---|---|
뇌와 뇌혈관 질환이 무엇이 있을까? (0) | 2024.01.22 |
탈구의 분류, 진단, 치유과정을 확인해보자 (1) | 2024.01.21 |
골절의 분류, 진단, 치유과정 (1) | 2024.01.21 |
의학이란 무엇일까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