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부정유합
유합이란 골절 후 가골이 형성되어 정상적인 치유 과정을 거쳐 뼈가 붙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유합에서 비정상적인 유합을 3가지로 분류하며 이는 부정유합, 불유합, 지연유합이라고 합니다.
부정유합은 뼈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완전히 합쳐지지 않은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골편들이 원래의 해부학적 위치가 아닌 상태로 유합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골절 부위가 정상적으로 치유되지 않거나 제대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부정유합은 일반적으로 골절 부위에서 충분한 혈액순환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골절 부위를 올바르게 정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2. 부정유합 유형
부정유합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이차성 부정유합은 골절 부위가 초기에는 적절하게 치료되었지만, 나중에 치유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뼈가 정상적으로 합쳐지지 않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두 번째로는 원발성 부정유합은 골절 부위가 초기부터 바르지 않게 정렬되지 않거나 충분하게 혈액순환을 받지 못해 뼈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1-3. 부정유합 치료
부정유합은 주로 통증, 변형된 관절, 운동 제한 및 기능 저하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의 경우 정상적인 운동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주로 부정유합의 유형, 위치, 크기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부 경우에는 수술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지만, 경미한 부정유합의 경우 뼈가 자연적으로 합쳐지도록 지원하거나 보조하는 보존 치료가 충분할 수 있습니다.
2-1. 불유합
불유합은 뼈가 충분히 치유되지 않고 제대로 연합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키는 의학적 용어로 정상 골절의 치유 과정에서 보여야 할 방사선적 변화가 최소 3개월 후에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로, 예상되는 치유 기간에 수복이 완성되지 못하거나 골절 부분의 세포 활동이 멈춘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골절 부위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거나 충분한 혈액순환을 받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골절 부위의 조건이 치료에 부적합하거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치유 과정이 방해받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2-2. 불유합 유형
불유합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첫째, 이차성 불유합은 초기에는 적절하게 치료되었지만 나중에 뼈가 치유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치유 과정 중에 외부 요인이나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원발성 불유합은 골절 부위가 초기부터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았거나 충분한 혈액순환을 받지 못해 뼈가 제대로 붙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2-3. 불유합 치료
불유합은 주로 통증, 관절 변형, 운동 제한 및 기능 저하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증의 경우 정상적인 운동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불유합의 유형, 위치, 크기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합니다. 견고한 내고정과 자가 골 이식술을 병행하기도 하며, 충분한 기간에 외부 고정을 시행하기도 한다. 일부 경우에는 수술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지만, 경미한 불유합의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1. 지연유합
지연유합은 골절 부위가 충분한 시간 내에 치유되지 않고 뼈가 제대로 연합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평균적인 골유합이 이루어지는 시기보다 명백하게 골유합이 지연되는 징후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골절 부위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혈액순환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골절 부위가 치료되는 동안 골절 부위에서 적절한 혈액순환을 유지하고 적절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2. 지연유합 원인
지연유합의 원인으로는 전신질환인 심한 빈혈이나 매독 등이 있으며, 뼈의 국소 질환인 골수염 등이 있고, 골절 부위의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고정 또는 정복이 불완전한 경우도 해당합니다. 지연유합은 골절 부위가 정상적인 치유 과정을 거쳐도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뼈가 제대로 연합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골절 후 6개월 이상 지연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이는 골절 부위에서 충분한 혈액순환과 영양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뼈가 치유되지 않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3. 지연유합 치료
지연유합은 주로 통증, 운동 제한, 관절 변형 및 기능 저하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치료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수술을 통해 골절 부위를 다시 정렬하고 적절한 조건을 제공하여 뼈의 치유와 연합을 촉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러나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 골절 부위의 위치 및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전문의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진단과 개별적인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실질내출혈을 확인하자 (0) | 2024.02.02 |
---|---|
지주막하출혈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4.02.01 |
구획증후군이란? (0) | 2024.01.30 |
방아쇠 수지와 드꾀르벵 병 (0) | 2024.01.29 |
경막하출혈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1.26 |